상조회사는 선불제와 후불제 업체로 구분합니다.
선불제는 장례용품과 인력 서비스 제공을 약속하고
매월 일정액을 선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360만 원짜리 상품이라면
3만원씩 120회를 납입해야 1회의
장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선불제 상품의 가격은
360만 원에서 72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후불제는 미리 선납하지 않고 장례를 치른 후
정산해서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1회 장례 시 280만 원에서 350만 원 정도로
광고비나 영업 수당, 관리비 등이 들지 않아
상대적으로선불제에 비해 저렴합니다.
그렇다면 선불제와 후불제의 서비스 차이는 어떤게 다를까요?
장례에서 상조회사 영역은 장례지도사와 접객 관리사(도우미) 등 인력과
생화 제단, 수의, 버스와 리무진 등 장례용품 영역이 있습니다.
서비스 질은 장례 서비스 자체가 표준화되고
경험 많은 장례지도사들이 여러 업체에서 일하기 때문에
상조회사가 어디든 장례용품과 인력 서비스 질은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면 후불제 상조회사로 정하면 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문제는 겉으로 내세우는 가격이 아니라 실제 가격입니다.
저렴한 가격을 미끼로 고객을 유인한 후
이런저런 명목으로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곳도 있습니다.
이런 저런 비용을 추가하다보면 선불제 상조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내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그렇다면 상조회사 어디가 좋은가요?
가장 좋은 상조회사는 사전에 계약한 대로
진행하는 정직한 곳입니다.
복잡한 장례 절차나 전문용어로 현혹하거나
‘마지막 가시는 길’이라며
효도 심리를 자극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갑자기 장례를 치르게 되어 허둥대기보다 사전에
여러 상조 상품을 꼼꼼히 비교하고,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상조회사의 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에서 운영하는
내상조 찾아줘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여러 회사의 상조 상품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상조회사 순위 확인하기
내상조찾아줘 메인화면에서
내상조 그대로 바로가기 클릭 후
상품 비교 안내를 눌러 회사별로 보장하는
상품 내용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회사별 제공 서비스 / 보장내용/ 금액 등
자세한 상품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조회사 어디가 좋은지 꼼꼼하게 비교해서
가장 합리적인 곳으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돈버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신고 안 하면 불이익 어떻게 될까? (0) | 2022.12.14 |
---|---|
부모 급여 지급 시기 신청 총정리 (0) | 2022.12.13 |
청년 월세 지원 조건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12.11 |
은행 계좌 숨은 내 돈 찾기 (0) | 2022.12.05 |
집에서 하는 간단한 부업 추천 (0)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