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연말정산 하는법 많이 돌려받는 방법은? 연말정산 하는 법 국세청 홈택스-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각 항목을 모두 조회후 파일 다운로드해서 회사 담당자에게 제출합니다. *홈택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항목은 본인이 별도로 서류를 준비합니다. 별도 준비서류 확인은 아래글 참고해주세요. [돈버는 정보] - 연말정산 신고 안 하면 불이익 어떻게 될까? 많이 돌려받는 방법은? 공제항목을 꼼꼼히 확인해보자. 1. 인적공제: 기본공제: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1명당 150만원 공제 추가공제: 경로 우대, 장애인, 부녀자, 한 부모 2. 카드공제: 신용카드:15% 공제 체크카드:30% 공제 전통시장, 대중교통: 40% 공제 공제한도: 신용카드 + 체크카드 합계액 300만원 까지 (대중교통, 전통시장은 각각 100만원 추가 공제) 3. 연금 계좌 공제 50세 .. 2022. 12. 14.
연말정산 신고 안 하면 불이익 어떻게 될까? 연말정산 왜 하는 걸까요? 세금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하는 것 입니다. 연말정산 기간은? 1월1일~12월31일까지 1년의 과세자료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23년 연말정산은 22년 귀속분을 제출하면 됩니다. 증명서류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국세청 홈택스에서-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확인되지 않는 자료는 없나요? 장애인증명서, 월세 세액공제, 자녀의 해외 교육비, 보청기, 휠체어 등 장애인 보장구 구매비용 안경,콘텍트렌즈구매 비용, 교복구매 비용, 종교단체 기부금, 미취학 아동 학원비, 사회복지단체 기부금 -위에 서류들은 해당 기관에 요청해서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간편하게 홈텍스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안 하면 불이익 어떻게 되나요? 연말정산을 하지 .. 2022. 12. 14.
부모 급여 지급 시기 신청 총정리 ◎ 2023년 1월 부터 부모 급여 제도가 시행됩니다. ◎지급 대상: 만 2세 미만 아동 ◎지급액: 만0세 (1개월~11개월) 아동은 매달 70만원을 받게 되고 12개월부터는 매달 35만원이 지급됩니다. 2024년부터는 예산을 확대해서 만 0세 아동은 매달 100만원을 받게 되고 12개월부터는 매달 50만원이 지급됩니다. ◎지급 기간: 출생일 기준 0~23개월까지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 오프라인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 방문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원 현금이 지급되던 아동수당은 2023년에도 계속 지급되며 부모 급여와 중복으로 받을 수 있다. 부모 급여와 아동수당은 부모의 소득액과 관계없이 모든 아동에게 지급됩니다. 복지로 사이트바로가기▶ 정부24홈페이지 바로가기▶ 2022. 12. 13.
상조회사 순위 추천 어디가 좋은가요? 상조회사는 선불제와 후불제 업체로 구분합니다. 선불제는 장례용품과 인력 서비스 제공을 약속하고 매월 일정액을 선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360만 원짜리 상품이라면 3만원씩 120회를 납입해야 1회의 장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선불제 상품의 가격은 360만 원에서 72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후불제는 미리 선납하지 않고 장례를 치른 후 정산해서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1회 장례 시 280만 원에서 350만 원 정도로 광고비나 영업 수당, 관리비 등이 들지 않아 상대적으로선불제에 비해 저렴합니다. 그렇다면 선불제와 후불제의 서비스 차이는 어떤게 다를까요? 장례에서 상조회사 영역은 장례지도사와 접객 관리사(도우미) 등 인력과 생화 제단, 수의, 버스와 리무진 등 장례용품 영역이 있습니다. 서비스.. 2022. 12. 12.